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내수 12.8%↓vs 전기차 56.1%↑, 왜 이렇게 달라졌나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한눈에 보기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동향은 향후 자동차 구매를 계획하시는 소비자분들, 업계 종사자분들, 그리고 시장을 관찰하는 분들 모두에게 반드시 참고해야 할 자료입니다.

산업통상부에서 발표한 공식 수치를 바탕으로 전체 흐름을 분석하되, 단순한 보도자료 요약이 아니라 시장의 의미와 향후 변화까지 함께 살펴보실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습니다.

이번 최종글은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을 깊이 이해하시려는 분들에게 종합적인 해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동차 산업 통계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내수 12.8%↓vs 전기차 56.1%↑, 왜 이렇게 달라졌나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핵심 숫자 요약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전체 흐름을 빠르게 이해하시려면 아래 표가 좋은 출발점이 됩니다. 월별 변화뿐 아니라, 왜 이런 변화가 나타났는지까지 함께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2024년 10월 2025년 9월 2025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전체 수출액(백만달러) 6,198 6,405 5,546 -10.5%
친환경차 수출액(백만달러) 1,951 2,688 1,997 +2.3%
생산량(대) 367,622 334,289 302,893 -17.6%
내수 판매량(대) 145,756 157,898 127,138 -12.8%

이 수치를 보시면 ‘전반적으로 다 떨어졌네?’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보도자료에서도 밝히고 있듯 추석 연휴 이동과 휴무 조정으로 조업일수가 3~4일 줄어든 영향이 큽니다.

즉, 산업의 체력이 약해진 것이 아니라, 달력 구조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반대로 1~10월 누적 수출이 역대 최대라는 점은 한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이 아직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생산·내수 흐름으로 살펴본 국내 시장의 변화

2025년 10월 생산량은 전년 대비 17.6% 줄어든 30만 대 수준입니다. 하지만 줄어든 생산량만 보고 산업이 위축됐다고 판단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파일의 상세 데이터를 보시면 현대·기아 등 주요 제조사의 감소폭이 대부분 조업일수 감소율과 유사합니다.

즉, 일정 이슈가 주된 원인이며, 공장 운영 능력이나 수요가 크게 약해진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국내 소비 흐름에서는 또 하나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수입차 판매는 증가했고 국산차는 감소했다는 점입니다.

2025년 10월에는 국산차가 17% 이상 줄어든 반면, 수입차는 11.9% 증가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이 단순 가격 중심에서 브랜드·주행감·전동화 전략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구분 2024년 10월 판매량(대) 2025년 10월 판매량(대) 전년 동월 대비
전체 내수 145,756 127,138 -12.8%
국산차 122,841 101,490 -17.4%
수입차 22,915 25,648 +11.9%

또한 전기차와 수소차 같은 친환경차 내수 판매가 급증한 점도 눈여겨보셔야 합니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이 ‘실질적 전동화 시대’로 본격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지역별 수출에서 드러나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전략

지역별 수출 흐름을 살펴보면 우리 산업의 방향성이 더욱 분명해집니다. 북미 수출은 26.7%나 감소했지만, 아시아는 무려 42%나 증가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경기 변동 때문이 아닙니다. 우리 업체들이 수출 지역 다변화 전략을 꾸준히 실천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 2024년 10월 수출액(백만달러) 2025년 10월 수출액(백만달러) 전년 동월 대비
북미 3,456 2,534 -26.7%
미국 2,992 2,124 -29.0%
EU 762 746 -2.1%
기타 유럽 435 480 +10.4%
아시아 565 802 +42.0%
중동 466 403 -13.5%
중남미 234 290 +23.7%

즉,
– 북미 의존도는 낮아지고
– 아시아와 중남미의 영향력은 커지고 있으며
– 유럽은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는 구조

이렇게 세 방향 모두에서 의미가 생깁니다.

이것은 기업 입장에서 ‘위험 분산’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특정 국가 규제나 경기 영향에 덜 흔들리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입니다.

친환경차가 이끄는 자동차산업의 체질 변화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는 바로 친환경차 성장세입니다.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기존 내연기관과는 완전히 다른 흐름을 보여 주었기 때문입니다.

구분 2024년 10월 2025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친환경차 내수(대) 62,793 63,663 +1.4%
하이브리드 내수(대) 49,257 42,857 -13.0%
전기차 내수(대) 12,378 19,318 +56.1%
수소차 내수(대) 286 687 +140.2%

전기차 내수는 실질적으로 ‘폭발적 증가’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충전 환경 개선과 다양한 신차 출시가 소비자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한 결과입니다.

수출에서도 하이브리드 중심 성장세가 뚜렷합니다.

구분 2024년 10월 2025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친환경차 수출(대) 63,882 64,427 +0.9%
하이브리드 수출(대) 41,094 42,683 +3.9%
전기차 수출(대) 19,188 19,247 +0.3%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수출(대) 3,600 2,492 -30.8%

특히 전기차는 내수에서는 확대되고 있지만 수출에서는 정체되어 있습니다. 이는 국내 기술력 강화와 해외 인프라 확충 속도 차이, 그리고 주요 국가의 정책 변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됩니다.

완성차 업체별 경쟁 구도

아래 표는 주요 브랜드의 2025년 10월 점유율을 보여 드립니다. 국내 시장에서 어떤 브랜드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 2025년 10월 판매량(대) 점유율
현대 53,822 42.3%
기아 40,344 31.7%
BMW 6,177 4.9%
메르세데스-벤츠 5,838 4.6%
테슬라 4,350 3.4%
르노코리아 3,810 3.0%
KG 모빌리티 3,537 2.8%

독자에게 필요한 핵심 메시지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 통계를 단순히 ‘시장 상황’으로만 읽으시면 부족합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소비자, 업계 종사자, 투자자 모두가 참고해야 할 의사결정 자료입니다.

  • 차량 구매를 고민하시는 분들께서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의 선택폭이 매우 넓어지고 있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 정비·부품·딜러 업종 종사자분들은 전동화 차량 점유율 증가에 따라 기술 교육과 장비 업그레이드가 필수로 바뀌고 있습니다.
  • 부품·물류 기업은 북미 중심의 수출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는 만큼, 아시아·중남미 시장 대응 전략을 강화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단순한 수치 변화가 아니라 산업의 구조적 변화이며, 이를 먼저 이해하는 분들이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게 됩니다.

이전 월별 자동차산업 동향 자료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을 이해하려면 직전 몇 개월간의 흐름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2025년 7월부터 9월까지의 자동차산업 동향 자료로, 산업 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이 보여주는 미래

2025년 10월 자동차산업은 월별 수치만 보면 감소세가 많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성장 기반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출은 특정 지역에 의존하지 않고 점차 다변화되고 있으며, 친환경차는 내수와 수출을 동시에 이끌며 산업 구조를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같은 시기 다른 산업에서도 확인되는데, 예를 들어 조업일수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무역 흐름이 흑자를 기록한 내용을 담은 2025년 10월 무역 흐름 분석 기사에서도 한국 산업 전반의 회복력과 저력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정부 보도자료의 수치를 단순히 정리하는 수준을 넘어서, 독자 여러분께서 그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시도록 맥락과 해석을 더해 구성하였습니다.

왜 이 수치가 중요한지,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소비자와 업계 종사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까지 연결해 드리는 것이 목적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변화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동차 구매를 고려하시는 분들, 업계에서 일하시는 분들, 관련 시장을 연구하시는 분들 모두 꾸준히 흐름을 관찰하시고 본인에게 필요한 전략을 세우는 데 이번 분석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