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바이오산업, 22조 생산·13조 수출로 경제를 바꾸는 주인공

2024년 바이오산업, 숫자 이상의 의미

2024년 바이오산업은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대한민국 산업 구조의 변화를 보여주는 거울입니다. 산업통상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공동으로 발표한 이번 조사 결과는 생산, 수출, 투자 모두에서 강한 회복세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은 단순히 수치를 나열하는 데서 그치지 않습니다.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났는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그리고 우리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바이오산업의 핵심은 ‘확장’입니다. 바이오 기술이 이제는 제약과 의료를 넘어 식품, 에너지, 환경까지 넓게 스며들고 있습니다. 이는 곧 ‘바이오경제(Bio-Economy)’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바이오산업 통계현황

 

2024년 바이오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2023~2024년, 단위 : 억원, %]

▲ 2024년 바이오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2023~2024년, 단위 : 억원, %] (출처: 산업통산부)

2024년 바이오산업의 주요 성장 수치

2024년 바이오산업의 전체 생산액은 약 22조 9,216억 원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했습니다.

수출은 17.1% 증가한 13조 7,109억 원, 투자는 무려 46.1%나 상승했습니다.

이는 바이오 기업들이 단기 이익보다 중장기 성장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항목 2023년 2024년 증감률
생산 규모 20조 8,713억 원 22조 9,216억 원 +9.8%
수출액 11조 7,081억 원 13조 7,109억 원 +17.1%
총 투자비 3조 7,520억 원 5조 4,821억 원 +46.1%
연구개발비 2조 6,188억 원 2조 7,024억 원 +3.2%
시설투자비 1조 1,332억 원 2조 7,797억 원 +145.3%

이 수치가 의미하는 바는 단순한 성장 그 이상입니다.

바이오산업이 불확실한 세계 경제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 산업 전반이 고부가가치 구조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분야별 생산 현황 – 어떤 산업이 성장했나

2024년 바이오산업의 성장세는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바이오의약, 식품, 서비스 산업이 중심축을 이루며 전체 생산의 75%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아래 표는 각 분야별 생산 현황을 정리한 것입니다.

분야 2023년(억원) 2024년(억원) 증감률
바이오의약 63,313 84,305 +33.2%
바이오식품 45,197 47,956 +6.1%
바이오서비스 38,035 39,929 +5.0%
바이오화학·에너지 35,967 32,186 -10.5%
바이오의료기기 22,311 21,047 -5.7%

특히 치료용 항체 및 사이토카인제제, 위탁생산서비스, 사료첨가제가 생산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이는 2024년 바이오산업이 ‘치료·식품·서비스’의 세 축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수출 변화로 본 글로벌 경쟁력

2024년 바이오산업 수출액은 13조 7,109억 원으로 17.1% 증가했습니다. 그중에서도 바이오의약 분야가 46.0% 증가하며 전체 수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수출 상위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품목 2024년 수출액(억원) 증감률
1 치료용 항체 및 사이토카인제제 46,085 +52.9%
2 바이오위탁생산·대행서비스(CMO) 30,086 +5.1%
3 사료첨가제 19,814 +5.0%
4 기타 바이오의약품 7,364 +44.4%
5 기타 바이오의료기기 6,137 +40.9%

이 수출 품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한국 바이오산업은 ‘생산 중심’에서 ‘수출 중심 산업’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이미 반도체, 배터리와 함께 한국 수출 3대 축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인력 현황과 산업 생태계의 변화

바이오산업 종사자는 총 65,818명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습니다.

이 중 연구직 비중은 30%에 육박하며, 석·박사 비율은 21.2%에 달합니다.

직무 구분 2023년(명) 2024년(명) 증감률
연구직 19,432 19,788 +1.8%
생산직 21,746 22,151 +1.9%
영업·관리직 23,693 23,879 +0.8%

이 수치는 단순한 고용 확대가 아니라 산업 구조의 ‘질적 고도화’를 의미합니다.

바이오산업은 이제 단순 제조업이 아닌, 첨단 기술과 데이터 분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는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투자와 정책 방향, 정부의 전략과 기업의 대응

2024년 바이오산업 투자 규모는 5조 4,821억 원으로 46.1% 증가했습니다.

이 중 시설투자는 145.3% 급증했으며, 연구개발비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구분 2023년(억원) 2024년(억원) 증감률
연구개발비 26,188 27,024 +3.2%
시설투자비 11,332 27,797 +145.3%
총투자비 37,520 54,821 +46.1%

산업통상부는 이와 같은 성장세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업의 연구개발 및 수출 확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바이오산업을 반도체, AI와 함께 ‘미래 3대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세제 혜택, R&D 자금 지원, 전문 인력 양성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2024년 바이오산업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바이오산업의 발전은 단순히 기업의 성장만이 아닙니다.

건강기능식품, 친환경 화장품, 지속 가능한 에너지, 질병 예측과 맞춤 치료 등 우리의 일상 속 변화로 이어집니다.

  • 의료 측면에서는 암·면역질환 치료 기술이 고도화되며, 치료비 절감과 생존율 향상에 기여합니다.
  • 식품 분야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과 대체 단백질 식품이 늘어나며, 식생활이 더욱 다양해집니다.
  • 에너지 분야에서는 바이오연료가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환경 분야에서는 미생물 기반 폐수 처리 기술과 오염 감시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즉, 2024년 바이오산업의 성장은 단순한 경제지표가 아니라, 국민의 삶의 질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2024년 바이오산업 관련 주요 자료 링크 모음

2024년 바이오산업의 흐름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바이오협회에서 제공하는 공식 데이터를 함께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자료들은 산업동향, 수출통계, 실태조사 등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2024년 도 바이오산업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정보 이상의 통찰을 위하여

2024년 바이오산업은 ‘숫자’보다 ‘방향’이 중요합니다.

그 방향은 명확합니다. 기술, 인력, 자본이 결합된 ‘지속 가능한 바이오경제’로의 진입입니다.

산업통상부의 꾸준한 정책 지원과 기업의 혁신이 맞물리며, 대한민국은 아시아를 넘어 세계 바이오산업의 중심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 차원에서도 변화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4조7천억 투자로 내 삶을 바꾸는 미래산업과 같은 프로젝트는 바이오산업의 성장세가 수도권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2024년 바이오산업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산업 생태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께서 2024년 바이오산업의 흐름과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 산업이 내 삶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찾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것이 진정한 정보의 완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