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 감소 원인…세종만 혼자 올랐다!

20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 감소 원인

20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 감소 원인에 대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체 토지거래량은 약 90만 필지로, 전기 대비 4.2%,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습니다.

단순히 줄었다는 숫자보다 중요한 건 이 감소가 시사하는 바입니다. 땅을 사고파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줄었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 전반의 심리 변화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R-ONE 부동산 통계

 

지역별 토지 거래, 어디가 늘고 어디가 줄었나

모든 지역이 똑같이 움직인 것은 아닙니다. 세종시는 오히려 16.0% 증가했고, 울산도 10.5% 늘었습니다. 반면, 경북은 무려 15.8% 감소했고 전남, 강원 등도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왜 어떤 지역은 거래가 줄고, 어떤 지역은 늘었을까요? 개발 가능성, 수요자의 관심, 규제 완화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시도 증감률 (%)
세종 +16.0
울산 +10.5
광주 +8.6
서울 +7.5
경기 -8.3
전남 -11.3
경북 -15.8
제주 -16.3

어떤 땅이 안 팔렸는가: 공장용지, 임야, 나지

2025년 상반기에는 공장용지가 전년 대비 24%나 거래가 줄었고, 임야는 10.4%, 나지는 5.1% 줄었습니다. 이는 수익형 또는 대규모 개발 목적의 토지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는 신호입니다.

반대로 주거용 토지는 3.9%만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안정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토지 용도 증감률 (%)
공장용지 -24.0
임야 -10.4
나지 -5.1
주거용 -3.9

이미지 해석: 당신이 봐야 할 3가지 포인트

20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 감소 원인

▲ 20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 감소 원인

  • 서울은 여전히 강세: 지가변동률 1.73%로 전국 평균(1.05%)보다 높습니다.
  • 제주, 유일한 하락 지역: -0.38% 하락하며 전국 유일한 음의 수치 기록
  • 지방 침체 심화: 대부분 0.5% 이하로 상승폭이 낮아지고 있음

이 세 가지는 단순한 지표가 아닌, 시장 흐름을 읽는 단서입니다.

지금 뭘 해야 하나? 방문자를 위한 가이드

  • 보유한 땅이 있는가? 지금 매도보다 보유 전략을 재점검하세요.
  • 거래 전 R-ONE 부동산 통계시스템에서 해당 지역 추이 확인
  • 개발이 예고된 지역은 여전히 기회가 있습니다
  • 감정가보다 실거래가 중심으로 판단하세요

FAQ: 자주 묻는 질문 요약

  • 2025년 상반기 전국 지가는 어떻게 되었나요?
    전국 지가는 평균 1.05% 상승했으며, 이는 2024년 하반기보다 0.10%p 낮고 2024년 상반기보다 0.06%p 높은 수치입니다.
  • 지역별 지가변동률에서 특징적인 지역은?
    서울(1.73%), 경기(1.17%)는 전국 평균을 상회했으며, 강남구(2.81%), 용산구(2.61%) 등 일부 지역은 높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는 평균 0.348%로, 일반 지역(1.106%)보다 현저히 낮습니다.
  • 용도지역별 상승률은?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모두 1.17%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2025년 상반기 전국 토지거래량은?
    전체 토지거래량은 약 90.7만 필지로,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 순수토지는 30.8만 필지로 10.9% 감소했습니다.
  • 어떤 지역에서 거래량이 늘었나요?
    세종(+16.0%), 울산(+10.5%), 광주(+47.6%) 등은 증가했고, 전남, 경기 등은 감소했습니다.
  • 어떤 용도에서 거래량 변화가 컸나요?
    농림지역(+25.9%), 답(+13.9%)은 증가, 공업지역(-18.2%), 공장용지(-24.0%)는 감소했습니다.
  • 최근 지가 흐름에서 주의할 점은?
    2023년 3월 이후 28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최근 일부 지역에서 하락세가 포착되고 있습니다.

맺음말: 수치 너머의 시장을 읽어라

지금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땅을 사고 싶거나, 팔고 싶거나, 아니면 그냥 시장 흐름이 궁금했다면 하나는 분명합니다. 단순한 수치 너머의 신호를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2025년 상반기 토지거래량의 감소는 단기적 침체가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정부 정책 변화, 지역별 차등 흐름, 투자자 심리까지 고려한 종합적 판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정보는 당신의 행동을 결정짓는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캠코 공매 2025년 7월 28일, 감정가 70% 이하 매물 731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