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광주 쌍암동 아파트 6천6백만(감정가 40%) 공개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한눈에 이해하기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진행하는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는 압류된 부동산과 동산을 한 번에 다수 매각하는 중요한 일정입니다. 세금 체납으로 묶여 있던 자산이 시장에 다시 나오는 기회이면서, 실수요자와 투자자에게는 시세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물건을 검토할 수 있는 창구가 됩니다.

온비드 공매 물건 보기

이번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입찰 기간은 11월 24일(월)부터 11월 26일(수)까지이고, 개찰일은 2025년 11월 27일(목)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온비드와 스마트온비드 앱을 통해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전자입찰로 참여할 수 있어, 공매 경험이 처음이신 분도 절차를 이해하시면 비교적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광주 쌍암동 아파트 6천6백만(감정가 40%) 공개

압류재산 캠코 공매, 왜 중요한가

압류재산 캠코 공매는 단순히 싸게 나온 부동산을 찾는 자산시장 이벤트에 그치지 않습니다.

국세·지방세 체납으로 압류된 재산을 매각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회복하고, 세금을 성실히 납부한 이들과의 형평성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 역시 약 2,300억 원 규모의 압류재산이 입찰에 부쳐질 예정으로, 세수 확보와 체납 문제 정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이번 공매에는 토지, 아파트, 다세대주택, 근린생활시설, 숙박시설, 공장 등 다양한 유형의 자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내 집 마련, 상가 마련, 토지 투자, 노후 대비 수익형 부동산 등 각자의 재무 목표에 따라 선택지를 찾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다만 공매는 권리관계가 복잡할 수 있어, 충분한 공부와 준비를 전제로 접근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일정과 개찰일, 절차 흐름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의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이 이해하시면 됩니다.

  • 1단계: 온비드 회원가입 및 공인인증·공동인증 등록
    온비드 사이트에서 회원가입 후 입찰에 사용할 인증 수단을 등록하셔야 합니다.
  • 2단계: 캠코 압류재산 공매 공고 확인
    온비드 메뉴에서 “부동산/동산 → 공고 → 캠코 압류재산”을 선택해 이번 회차 공매 물건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3단계: 물건별 상세 정보·권리관계·현황 확인
    감정가, 매각예정가, 토지·건물 면적, 임대차 관계, 점유 상태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등기부등본·토지대장·건축물대장도 별도로 열람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4단계: 입찰가 결정 및 입찰보증금 납부
    공매 규정에 따라 정해진 비율의 입찰보증금을 납부한 후 전자입찰로 입찰가를 입력합니다.
  • 5단계: 개찰(2025-11-27) 및 낙찰자 결정
    입찰 기간이 끝난 뒤 11월 27일에 개찰이 이루어지고, 최고가 입찰자(또는 규정에 따른 낙찰자)가 결정됩니다.
  • 6단계: 대금 납부와 소유권 이전
    낙찰된 경우 정해진 기한 안에 대금을 납부한 뒤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해야 비로소 해당 자산을 온전히 취득하게 됩니다.

이 절차를 미리 알고 계시면,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에 참여하시면서도 일정에 쫓기지 않고 여유 있게 준비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매각예정 물건 20개 비교표

이번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에서는 전국 각지의 고가 토지와 상가, 숙박시설, 다세대주택, 공장 등이 개찰일 2025-11-27을 앞두고 입찰에 부쳐집니다.

아래 표는 매각예정가 기준 상위 20개 주요 매각예정 물건을 정리한 것으로, 지역·용도·종별·감정가 대비 비율을 한눈에 비교하실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관리번호 소재지 용도 종별 매각예정가(원) 감정가(원) 매각예정가/감정가 개찰일
2025-13790-001 세종특별자치시 가람동 971 74,845,755,000 74,845,755,000 100% 2025-11-27
2025-08511-001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 2203-1 7,536,816,000 12,561,360,000 60% 2025-11-27
2025-06131-004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38-2, 38-3, 38-5 대 외2건 5,401,674,000 9,002,790,000 60% 2025-11-27
2025-09550-006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37-1, 37-2, 37-19, 37-7 대 외3건 5,334,592,000 13,336,480,000 40% 2025-11-27
2025-09623-009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창만리 498 (토지, 건물), 498-2 (토지, 건물), 489-7, 498-1 (토지) 공장 제시외 외2건 5,082,272,000 6,352,839,000 80% 2025-11-27
2025-00611-003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1061-4 숙박시설 4,908,427,000 8,180,710,000 60% 2025-11-27
2025-06955-006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661, 661·663-6·663-7·663-8 (대지), 661 외 3필지(건물) 공장 미등기건물 외3건 4,825,708,000 12,064,268,000 40% 2025-11-27
2025-06132-003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709 (토지 및 건물) 근린생활시설 미등기건물 4,664,884,000 7,774,805,000 60% 2025-11-27
2025-11871-073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1065-4 외 4필지 엘이즈지04 제2층 201~205호, 제3층 301~307호, 제4층 401~407호, 제5층 501~507호, 제6층 601~606호 다세대 대 외31건 4,584,600,000 5,094,000,000 90% 2025-11-27
2025-10120-003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동 206-4, 206-5 대 외1건 4,109,566,000 5,136,957,000 80% 2025-11-27
2025-10790-00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1가 350-4 외 2필지 송천웰가아파트 제101동 제1층 제102호 근린생활시설 3,880,000,000 4,850,000,000 80% 2025-11-27
2025-04259-001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휴대리 644 제1층 제101호 업무시설 3,732,000,000 6,220,000,000 60% 2025-11-27
2025-11084-001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1589 공장용지 공장용지 3,371,351,000 3,371,351,000 100% 2025-11-27
2024-09776-016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매학리 751-1 망고프라자 제1층 제108호, 제2층 제201호 근린생활시설 대 외1건 3,292,000,000 4,115,000,000 80% 2025-11-27
2024-16342-003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동 432-3 점포및사무실 3,251,638,000 8,129,095,000 40% 2025-11-27
2025-11871-072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108-5 외 1필지 엘이즈지05 제2층 201~204호, 제3층 301~304호, 제4층 401~404호, 제5층 501~504호 다세대 대 외15건 3,109,500,000 3,455,000,000 90% 2025-11-27
2024-00431-001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1275-1, 1275-2, 1275-5, 1275-6, 1275-7, 1275-12, 1275-13, 1275-14 (토지), 1275-5 외 1필지(건물) 숙박시설 도로 외4건 2,910,780,000 7,276,948,000 40% 2025-11-27
2025-10743-005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 10-103, 37-2, 37-34 (토지), 10-103 외 2필지(건물) 근린생활시설 대 외2건 2,875,653,000 4,792,755,000 60% 2025-11-27
2025-11871-067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128-11 모먼트리 제2층 201~205호, 제3층 301~305호, 제4층 401~402호, 제5층 501~502호 다세대 대 외13건 2,806,200,000 3,118,000,000 90% 2025-11-27
2024-16273-003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684 외 1필지 스카이타워 제10층 1001호, 제9층 901호 근린생활시설 대 외1건 2,512,000,000 6,280,000,000 40% 2025-11-27

이 표를 보시면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에서 어떤 지역에 어떤 용도의 자산이, 감정가 대비 어느 정도 비율로 나와 있는지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세종, 수도권, 부산·충청 지역의 토지와 다세대, 근린생활시설, 숙박시설이 고르게 섞여 있어, 본인이 필요로 하는 자산 유형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시기 좋습니다.

투자자와 실수요자를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에 참여하시기 전, 다음 사항은 꼭 점검해 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이는 단순한 정보 확인이 아니라, 손실 위험을 줄이고 실제로 도움이 되는 공매 참여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선입니다.

  • 권리분석
    등기부등본을 통해 말소기준권리, 선순위 저당권, 압류·가압류, 가처분 등을 꼼꼼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낙찰 후 인수해야 하는 권리가 있는지,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있는지에 따라 실제 부담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임대차·명도 문제
    현재 점유자가 누구인지, 보증금과 계약 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시고, 명도 책임이 낙찰자에게 있다는 점을 반드시 인지하셔야 합니다. 명도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현장 답사와 주변 시세
    서류상 정보만으로는 도로 접면, 경사도, 실제 건물 상태, 주변 상권 분위기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최소 한 번은 현장을 직접 방문해 주변 시세와 공실률, 상권 변화 등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유찰 이력과 가격 하락 구조
    캠코 공매는 유찰될 경우 차수별로 공매예정가격이 10%씩 내려가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미 여러 차례 유찰된 물건이라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단순한 심리적 기피인지, 구조적 문제인지 구분해 보셔야 합니다.
  • 취득 후 자금·세금 계획
    취득세, 중개수수료, 리모델링 비용, 명도 비용 등 추가 비용을 함께 고려해 전체 자금 계획을 세우셔야 합니다. 단순히 “싸게 샀다”는 것만으로는 좋은 투자가 되기 어렵습니다.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이 내 재정에 주는 의미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는 각자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분께는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주거용 자산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고, 자영업자에게는 상가·근린생활시설을 통해 안정적인 영업 공간을 확보하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토지·숙박시설·공장 등은 중장기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려는 분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동시에, 공매는 일반 매매보다 복잡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싸다”는 이유만으로 접근하기에는 위험이 큽니다.

이 글에서 정리한 것처럼 왜 이 공매가 중요한지, 내 재정 계획과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지, 위험은 어디서 발생하는지를 차분히 생각해 보시면, 단순한 정보 소비를 넘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판단을 하시는 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공매 입찰 시 주의사항

  • 권리분석 철저: 공매 물건에 대한 소유권, 사용권 등 권리 관계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미등기 부담 등 숨겨진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부 열람,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철저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명도책임: 공매 물건에 임차인이 있는 경우 입찰 후에도 임차권을 승인해야 하는 명도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입찰 전 임차인 존재 유무와 임차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명도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지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입찰 취소 가능성: 세금납부, 송달불능 등의 사유로 공매 직전까지 입찰이 취소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공매 일정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입찰 전 해당 물건의 공매 현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입찰 전 현장 조사: 사진이나 설명만 보고 입찰하기보다는 반드시 현장 조사를 통해 물건의 실제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건물의 경우 구조적 결함, 수리 필요 부분 등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투자 목적과 재정 계획: 공매 물건을 투자 목적으로 구매할 경우 시장 상황, 수익성, 관리비용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입찰뿐만 아니라 세금, 공과금 등 부가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재정 계획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
  • 캠코 공매 2025년 9월 22일에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주의사항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신중하게 검토하고 입찰 전 충분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성공적인 거래를 위한 첫걸음이다.

관련 참고 공매 일정

이번 글에서 다룬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외에도, 직전 회차 기록을 참고하면 입찰 흐름과 물건 특징을 비교하는 데 유용합니다. 아래 외부 링크 3개는 과거 공매 일정과 주요 내용이 정리된 자료입니다.

단순한 정보 정리를 넘어서는 캠코 공매 안내

정부 보도자료는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의 일정과 숫자, 물건 목록을 정확하게 알려 줍니다.

그러나 실제로 입찰에 참여하실 분들께 필요한 것은 “언제·얼마에 나온다”는 사실뿐 아니라, 왜 이 공매가 중요한지, 내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합리적인지,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입니다.

이 글에서는 일정과 개찰일, 매각예정 물건 20개의 구체적인 정보뿐 아니라, 공매의 제도적 의미, 투자·실거주 관점의 활용법, 권리분석과 명도 같은 리스크 포인트, 그리고 오늘 당장 무엇을 준비하시면 좋은지까지 함께 담았습니다.

이 한 편의 글로 캠코 공매 2025년 11월 24일 회차에 대한 궁금증이 상당 부분 해소되고, 스스로 판단하고 준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향후에도 공매 일정과 물건 구조는 계속 바뀔 수 있으므로, 관심 있는 회차가 있을 때마다 이번 글의 체크리스트와 절차를 다시 적용해 보신다면, 단순한 정보 수집을 넘어 자신의 기준을 갖고 공매 시장을 바라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