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한국 경제성장률 AMRO, 왜 1.6%에서 멈춘 걸까?
2025 한국 경제성장률 AMRO 발표 배경
2025 한국 경제성장률 AMRO 보고서는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가 발표한 지역경제전망 자료로, 2025년 4월 15일 기획재정부에 의해 국내에 소개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한국, 일본, 중국, 아세안 10개국의 경제 흐름과 성장률, 인플레이션 등을 분석하며, 매년 두 차례 발간됩니다.
1.6% 성장률, 왜 이렇게 낮을까?
AMRO는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1.6%로 예상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하지 않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 강화, 고금리 유지, 글로벌 성장 둔화 등이 모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수 회복과 반도체 수출 증가가 하방을 방어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2025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6%로 예상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둔화되고 있고, 미국이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금리도 아직 높은 상황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소비와 수출에서 조금씩 회복하고 있어, 아주 나쁜 상황은 아닙니다. 다만, 회복 속도가 느린 거죠.
이 수치가 왜 그렇게 나왔는지 더 다양한 시각으로 알고 싶다면,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1.5%? 나만 몰랐던 이유 글도 함께 참고해보세요.
우리 일상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성장률이 낮다는 건 우리 삶에도 영향을 줍니다. 기업의 투자와 고용이 줄고, 소비 심리도 위축될 수 있어요. 청년층은 취업이 어려워질 수 있고, 자영업자는 매출 감소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비교적 안정될 것이란 전망(인플레이션 1.9%)은 가계 부담 완화에는 긍정적 요소입니다.
AMRO가 제시한 정책 제안
AMRO는 한국 정부가 단기적으로는 재정지출로 경기를 지원하되, 중장기적으로는 재정 건전성을 챙겨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은 금리 조정에 신중해야 하며, 금융 안정과 환율 흐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2025 한국 경제전망 주요 수치 한눈에 보기
다음은 AMRO가 발표한 아세안+3 및 주요 국가의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성장률 2024 | 성장률 2025f | 성장률 2026f | 인플레이션 2024 | 인플레이션 2025f | 인플레이션 2026f |
---|---|---|---|---|---|---|
아세안+3 | 4.3 | 4.2 | 4.1 | 1.2 | 1.7 | 1.7 |
+3 국가 | 4.1 | 4.1 | 4.0 | 0.7 | 1.4 | 1.5 |
중국 | 5.0 | 4.8 | 4.7 | 0.2 | 1.1 | 1.3 |
홍콩 | 2.5 | 2.4 | 2.3 | 1.7 | 2.2 | 2.0 |
일본 | 0.1 | 1.3 | 1.0 | 2.7 | 2.5 | 2.1 |
한국 | 2.0 | 1.6 | 1.9 | 2.3 | 1.9 | 1.8 |
아세안 | 4.9 | 4.7 | 4.7 | 2.9 | 3.0 | 2.9 |
브루나이 | 4.2 | 2.6 | 2.6 | -0.4 | 0.6 | 0.4 |
캄보디아 | 6.0 | 5.8 | 6.0 | 0.8 | 2.9 | 2.5 |
인도네시아 | 5.0 | 5.0 | 5.1 | 2.3 | 2.2 | 2.7 |
라오스 | 4.5 | 4.6 | 4.6 | 23.1 | 10.1 | 6.4 |
말레이시아 | 5.1 | 4.7 | 4.5 | 1.8 | 2.7 | 2.5 |
미얀마 | 3.2 | 1.0 | 1.0 | 27.5 | 25.0 | 18.0 |
필리핀 | 5.7 | 6.3 | 6.3 | 3.2 | 3.3 | 3.2 |
싱가포르 | 4.4 | 2.7 | 2.4 | 2.4 | 1.8 | 1.8 |
태국 | 2.5 | 2.9 | 3.0 | 0.4 | 1.2 | 1.3 |
베트남 | 7.1 | 6.5 | 6.2 | 3.6 | 3.5 | 3.0 |
마무리 요약: 이 글만 읽으면 정리되는 핵심
-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AMRO 전망치는 1.6%
- 미국 보호무역, 글로벌 둔화가 주요 하방 요인
- 반도체·관광 회복 여부가 변수
- 정책 유연성과 재정건전성 균형이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