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일~10일 수출입, 대만 폭발·미중 동반 하락…하반기 판세는?
2025년 8월 1일~10일 수출입 동향과 국가별 무역 분석
관세청이 발표한 2025년 8월 1일~10일 수출입 자료는 단기 변동을 넘어 올해 하반기 무역 환경을 가늠하는 ‘프리뷰’입니다.
단순 수치 나열이 아니라, 품목·국가별 변화가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고, 독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까지 담았습니다.

▲ 2025년 8월 1일~1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2025년 8월 1일~10일 수출입 개요
아래 표는 통관기준 잠정치로, 빠르게 방향을 잡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구분 | 2025.8.1~10 | 전년동기 대비 | 메모 |
---|---|---|---|
수출 | 147억 달러 | △4.3% | 조업일수 감소에도 일평균은 증가 |
수입 | 159억 달러 | △13.6% | 에너지·원자재 약세 영향 |
무역수지 | △12억 달러 | — | 단기 구간 적자 |
일평균 수출 | 21.0억 달러 | +9.3% | 체감 호조: 수출 속도는 빨라짐 |
주요 국가별 수출입
주요국가 | 수출액(백만$) | 증감률(%) | 주요국가 | 수입액(백만$) | 증감률(%) |
---|---|---|---|---|---|
중국 | 2,880 | △10.0 | 중국 | 3,231 | △11.1 |
미국 | 2,070 | △14.2 | 미국 | 1,694 | △18.7 |
베트남 | 1,645 | 4.1 | 유럽연합 | 1,451 | △5.3 |
대만 | 1,153 | 47.4 | 일본 | 1,244 | △21.3 |
유럽연합 | 972 | △34.8 | 사우디아라비아 | 1,099 | 2.1 |
싱가포르 | 931 | 162.5 | 베트남 | 865 | 9.4 |
일본 | 536 | △20.3 | 대만 | 854 | 0.6 |
홍콩 | 439 | △51.4 | 호주 | 761 | △29.6 |
인도 | 367 | △22.4 | 말레이시아 | 343 | △18.1 |
말레이시아 | 262 | △7.7 | 러시아 | 238 | 38.9 |
데이터가 말해주는 핵심 포인트
- 대만 수출 급증: 반도체 밸류체인 회복세와 함께 소재·장비 수요가 확대되었습니다.
- 미·중 동반 감소: 주요 소비재와 중간재 수요 위축, 글로벌 경기 둔화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에너지 수입 감소: 원유·가스 가격 하락이 제조업 원가 절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바로 적용 가능한 실무 전략
- 수출 영업: 대만·베트남 신규 고객사 발굴, 맞춤 제안서 준비
- 구매·생산: 에너지 가격 하락 시점에 장기 계약 재협상
- 재무·리스크: 달러 환율 변동 대비, 환헤지 비율 재검토
- 마케팅: 미국·중국 수요 둔화 품목은 판로 다변화 시동
맺음말
이번 2025년 8월 1일~10일 수출입 자료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하반기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입니다. 지금 바로 고객·공급망 데이터를 재점검하고, 에너지·원자재 계약 전략을 손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지난달 흐름까지 함께 살펴보면 더 명확한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 2025년 7월 수출입, 반도체 덕에 흑자! 앞으로 더 늘어날까? 글을 참고하면, 8월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 달 통계가 나오기 전, 준비한 자와 그렇지 않은 자의 격차는 더 벌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