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송파·안양 +0.20%↑ 평택 -0.13%↓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핵심 요약
한국부동산원 발표 기준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은 전국 매매 0.00% 보합, 전세 0.02% 상승입니다. 겉으로는 잔잔하지만, 지역·단지별로는 선별적인 상승과 조정이 동시에 진행되어 체감은 크게 달라집니다.
수도권은 매매 0.03% 상승으로 강보합, 서울은 0.08% 상승해 재건축·학군지·대단지 중심의 수요가 견조합니다. 지방은 매매 -0.02%로 약보합이나, 생활 인프라가 탄탄한 도시는 방어력이 높습니다.
전세는 전국 0.02%, 수도권 0.03%, 서울 0.06%로 실거주 수요가 실질 가격을 떠받치는 모양새입니다.

▲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한눈 표로 정리
아래 표는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핵심 지표를 한 줄 해석과 함께 담았습니다. 이동 중에도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설계했습니다.
구분 | 매매 변동률 | 전세 변동률 | 한 줄 해석 |
---|---|---|---|
전국 | 0.00% | 0.02% | 숨 고르기 속 전세 수요 유입 |
수도권 | 0.03% | 0.03% | 재건축·역세권 선별 강세 |
서울 | 0.08% | 0.06% | 선호 단지 매물 부족, 국지적 상승 |
지방 | -0.02% | 0.01% | 도시별 차별화 확대 |
생활과 자산에 미치는 파장
매매와 전세가 함께 올라설 때는 거래 회복의 ‘초입’일 가능성이 큽니다. 전세가가 선행하면 갭 축소로 매수 심리가 개선되고, 반대로 전세가가 약해지면 매수 여력이 줄어듭니다. 이번 주는 학군·역세권 중심 전세 강세가 확인되어, 가을 이사철 체감 상승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가
실입주
- 통학·통근 시간을 줄이는 단지부터 우선순위를 정하고, 실거래가와 전세 시세를 함께 비교해 월 부담을 계산하세요.
- 전세 재계약 시 인근 유사단지 실거래를 근거로 상한·인상폭을 협상하세요.
- 관리비·주차·학군 만족도를 현장 점검표로 확인해 계약 전 변수를 줄이세요.
갈아타기
- 보유 주택의 매도 가능가(3개월 내 체결 사례)를 먼저 확정한 뒤, 매수 목표지의 전세가율·입주물량·학군 수요를 교차 검증하세요.
- 재건축 이슈 단지는 안전진단 단계·초과이익환수 가능성·이주 시기 등 일정 리스크를 체크하세요.
임대인
- 공실 리스크를 줄이려면 관리비 경쟁력, 부분 리모델링(욕실·조명) 같은 체감 가치 개선이 효과적입니다.
- 전세보증보험 가능 여부와 보증금 반환 계획을 계약서 특약에 명료하게 적어 분쟁을 예방하세요.
투자 관점
- 단기 시세차익보다 현금흐름과 공실 위험 관리가 우선입니다.
- 입주물량, 산업·일자리 변화, 교통 호재가 겹치는 축을 선별하고, 하방 위험이 큰 도시는 레버리지 비중을 낮추세요.
관련 링크
- 한국부동산원 R-ONE 통계시스템 — 시도·시군구별 주간 지수 원본 데이터
- KB부동산 — 지역별 시세·수급·매물 동향 비교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 실제 거래금액으로 시세 검증
- 한국은행 — 기준금리·통화정책 일정 확인
지역별 관전 포인트
서울은 재건축·대단지가 상승 흐름을 견인합니다. 경기에서는 분당·과천·안양 동안 등 생활 인프라 완성도가 높은 곳이 버팀목입니다. 인천은 생활권별 온도차가 크므로 구·동별 실거래 확인이 필수입니다.
지방은 대구·강원·전남 등 약보합 지역과 산업·교통 호재를 가진 도시 간 격차가 확대됩니다.
데이터 해석법: 흔한 오해 줄이기
주간 변동률 0.00%는 ‘정지’가 아니라 상승과 하락이 섞인 결과값입니다. 같은 0.03%라도 거래량·호가 대비 실거래 괴리가 크면 체감은 다릅니다. 그래서 지수는 방향 탐지용, 계약은 단지·동·층 실거래 확인이 정답입니다.
상단 그래프에서 전세지수(적색)가 선행 반등하는 구간은 매매 회복의 신호가 될 수 있으나, 입주물량이 많으면 반등이 짧게 끝날 수 있습니다.
정리와 다음 주 체크리스트
- 핵심 결론: 전국은 보합, 수도권은 강보합, 지방은 차별화. 전세 반등이 매매 심리를 지지.
- 이번 주 행동: 관심 단지의 실거래 추이, 전세가율, 입주물량 캘린더를 함께 확인.
- 다음 주 확인: 금리·정책 발표 일정, 분양·입주 예정 단지, 학기 시작 이동 수요.
- 협상 팁: 유사단지 실거래와 관리비 수준을 근거로 호가·보증금 조정.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www.r-one.co.kr )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