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송파 0.41%↑ 대구 -0.19%↓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개요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한국부동산원이 7.28일 기준으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모두 0.01% 상승했습니다. 수치는 작지만, 이 안에는 시장의 심리 변화와 수요자의 고민, 그리고 다가올 방향성이 담겨 있습니다.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진 이번 주 동향을 통해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흐름과 해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적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해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 전국: 0.01% 상승
  • 수도권: 0.04% 상승 (서울 0.12%, 인천 -0.03%, 경기 0.01%)
  • 지방: -0.02% 하락 (5대광역시 -0.04%, 세종 0.04%, 8개도 -0.02%)

서울은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습니다. 예를 들어, 송파구(0.41%)는 송파·오금동 재건축 단지가 상승을 이끌었고, 서초구(0.21%)도 반포·잠원동 중심으로 올랐습니다. 경기에서는 과천(0.29%), 분당(0.25%) 등 인기 지역만 상승하고 나머지는 보합에 가까웠습니다.

서울 주요 지역 매매·전세가격 변동률 비교

구분 지역 매매가격 변동률 (7.28) 전세가격 변동률 (7.28)
강남권 송파구 +0.41% +0.28%
강남권 서초구 +0.21% -0.05%
강북권 성동구 +0.22% 0.00%
강북권 광진구 +0.17% +0.12%
강북권 용산구 +0.17% +0.09%

표에서 보듯이 서울의 주요 지역들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송파구는 매매와 전세 모두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지역별로 흐름이 다르기 때문에 관심 지역을 주기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세가격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 매물 부족이 가격 상승을 유발했습니다.

  • 전국: 0.01% 상승
  • 수도권: 0.01% 상승 (서울 0.06%, 인천 -0.05%, 경기 0.00%)
  • 지방: 0.00% 보합 (5대광역시 0.01%, 세종 0.02%, 8개도 -0.01%)

서울에서는 대단지나 역세권 아파트의 매물 부족으로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송파구(0.28%)는 잠실·문정동 중심으로 전세가가 올랐고, 강동구(0.11%), 영등포구(0.11%)도 상승했습니다. 반면, 인천과 일부 경기 지역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왜 지금 아파트가격이 중요한가?

0.01%라는 숫자가 작아 보여도, 부동산 시장은 방향 전환의 초기 징후를 이 숫자에서 읽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이사철이 다가오는 시기에는 매매와 전세 모두 변화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위 그래프를 보면, 최근 1년간 매매와 전세 모두 한동안 상승세였고, 지금은 상승폭이 둔화되는 시점입니다. 이럴 때는 혼란스럽고 어렵지만, 가장 많은 기회가 숨어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까?

1. 실거주자: 서울·분당 등 인기 지역에서 거래가 살아나고 있어, 하반기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사나 자녀 교육 계획이 있다면 지금 준비가 필요합니다.

2. 전세 세입자: 인기 지역에서 매물 부족 현상이 있으므로 전세 계약 갱신이나 이전 계획이 있다면 빠른 판단이 중요합니다.

3. 투자자: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어, ‘입지 선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지금은 막연히 기다리기보다, 변화에 대비할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

  • 서울 및 수도권 관심지역 실거래가 주기적으로 확인
  • 하반기 정부 부동산 정책 발표 일정 체크
  • 전세 만료 시점과 인근 매물 변화에 대한 정보 수집
  • 재건축 및 정비사업 관련 뉴스 구독 또는 커뮤니티 참여

지금은 조용해 보이지만, 조용할 때가 기회의 문이 열리는 순간일 수 있습니다. 준비된 사람만이 그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자주묻는질문 FAQ

  • 전국 아파트 가격 변화는?
    매매와 전세 모두 0.01% 상승해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수도권과 지방 매매가격은?
    수도권은 상승폭이 0.06%에서 0.04%로 줄었고, 서울은 0.16% → 0.12%로 감소했습니다. 지방은 -0.03%에서 -0.02%로 하락폭이 줄었고, 세종은 보합에서 상승(0.04%)으로 전환했습니다.
  • 서울 매매 특징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오름세였지만, 수요 위축으로 전체 상승폭은 줄었습니다. 송파(0.41%), 서초(0.21%), 성동(0.22%) 등이 상승했습니다.
  • 지방 주요 도시 매매는?
    충북(0.05%), 울산(0.02%) 등은 상승했고, 대구(-0.10%), 강원(-0.07%), 제주(-0.04%) 등은 하락했습니다. 세종은 고운·새롬동 위주로 상승 전환했습니다.
  • 전국 전세가격 특징은?
    전국은 0.01% 상승폭을 유지했고, 수도권은 상승폭이 줄었으며, 지방은 변동 없이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 서울 전세가격 원인은?
    정주 여건 좋은 역세권과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있었고, 송파(0.28%), 광진(0.12%) 등이 상승했습니다. 서초는 -0.05%로 하락했습니다.
  • 인천·경기 전세 변화는?
    인천은 하락폭 확대(-0.05%), 경기 지역은 보합(0.00%)으로 전환. 과천(0.20%), 하남(0.19%) 상승, 평택(-0.15%) 하락했습니다.
  • 5대광역시와 8개도 전세 흐름은?
    5대광역시는 상승 전환(0.01%), 부산(0.06%)과 울산(0.05%)이 상승했습니다. 8개도는 -0.01% 하락 유지, 제주(-0.05%)가 가장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