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외환보유액 급감, 그 원인은 일시적 현상?
2025년 4월 외환보유액 개요
2025년 4월 말,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외환보유액은 총 4,046.7억달러입니다. 이 숫자가 의미하는 건 나라가 외국과 거래하거나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쌓아둔 달러, 금, 채권 같은 자산입니다.
그런데 3월보다 약 49.9억달러가 줄어들었어요. 한국은행의 발표를 바탕으로 그 이유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2025년 4월 외환보유액
감소 배경과 주요 요인
외환보유액이 줄어든 첫 번째 이유는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왑거래 때문입니다. 이 거래는 마치 돈을 잠깐 빌려주고 나중에 다시 받는 것처럼, 일시적으로 외환보유액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요.
두 번째 이유는 3월 말엔 은행들이 외화를 많이 쌓아두는데, 이 효과가 4월에는 사라지면서 외화예수금이 줄어든 거예요.
구성 내역과 항목별 변화
외환보유액이란 다양한 자산들로 구성됩니다. 어떤 항목들이 얼마나 있었는지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 항목 | 금액(억달러) | 비중(%) | 전월 대비 증감 |
---|---|---|---|
유가증권 | 3,565.0 | 88.1% | -50.3 |
예치금 | 232.3 | 5.7% | -9.3 |
SDR | 156.8 | 3.9% | +7.0 |
금 | 47.9 | 1.2% | 0.0 |
IMF포지션 | 44.7 | 1.1% | +2.8 |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건 유가증권입니다. 채권이나 정부기관이 발행한 증서 같은 것이죠. 예치금은 은행에 넣어둔 외화고, SDR은 IMF에서 특별히 만들어진 가상 통화입니다.
세계 주요국과 비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세계 10위입니다. 중국, 일본, 스위스 같은 나라들이 상위권이에요. 우리나라는 4,097억달러로 10위에 올라 있는데, 이는 한국이 위기에 잘 대비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예요. 외환보유액이 많다는 건 경제적으로 안정적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순위 | 국가 | 외환보유액 (억달러) | 전월 대비 증감 (억달러) |
---|---|---|---|
1 | 중국 | 32,407 | +134 |
2 | 일본 | 12,725 | +192 |
3 | 스위스 | 9,408 | +169 |
4 | 인도 | 6,683 | +296 |
5 | 러시아 | 6,474 | +150 |
6 | 대만 | 5,780 | +4 |
7 | 사우디아라비아 | 4,542 | +212 |
8 | 독일 | 4,355 | +288 |
9 | 홍콩 | 4,125 | -38 |
10 | 대한민국 | 4,097 | +5 |
향후 외환보유액 전망
이번 달 외환보유액 감소는 걱정할 필요가 없어요. 일시적인 거래 때문에 줄어든 거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5년 4월 외환보유액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경제의 뒷받침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기를 바랍니다.
외환보유액이 늘었던 지난달 상황이 궁금하다면 2025년 3월 외환보유액, 늘어난 이유에 숨은 경제 신호는? 글도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