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산업활동, 생산 줄었는데 경기는 왜 좋아졌을까?
2025년 4월 산업활동동향 개요
오늘은 우리 경제의 현재 모습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지표, 바로 ‘2025년 4월 산업활동동향‘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들었다는 소식이 들려오는데요. 마치 감기 걸린 것처럼 활력을 잃은 듯한 모습이지만, 신기하게도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들은 괜찮다고 말하고 있어요.
과연 이 상반된 신호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복잡해 보이는 경제 지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미있고 유익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우리 경제의 진짜 모습을 함께 확인해보시죠!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산업활동동향 조사는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생산, 소비, 투자, 그리고 전반적인 경기 상황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입니다.
매월 발표되는 이 보고서를 통해 우리 경제가 지금 어떤 상황인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해 볼 수 있답니다.
2025년 4월 산업활동동향 상세 분석
생산 동향: 예상치 못한 감소세의 배경
2025년 4월, 우리나라 전체 산업 생산은 한 달 전과 비교했을 때 0.8% 감소했어요. 이건 공공행정,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모두 줄었기 때문인데요. 특히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0.9% 감소했고, 서비스업 생산도 전월 대비 0.1% 줄었습니다. 생산 감소는 경제 활동이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어요.
아래는 2024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전산업생산 지수 증감률입니다.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2024. 4 | 1.2 | 4.0 |
2025. 1 | -1.6 | -3.8 |
2 | 0.7 | 1.2 |
3p | 0.9 | 0.9 |
4p | -0.8 | 0.4 |
자세히 들여다보면, 광공업 생산 감소에는 자동차(-4.2%)와 반도체(-2.9%) 등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들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자동차는 기타 친환경차, 특수목적용 자동차 생산이 줄었고, 반도체는 플래시 메모리,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감소했네요. 하지만 기계장비(2.6%) 생산은 늘었습니다.
그렇다면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어떨까요? 전년 동월 대비 전산업 생산은 0.4% 증가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4.9% 늘고 서비스업 생산도 0.7% 늘면서 전체 생산을 끌어올렸어요. 특히 반도체(21.8%)와 기타운송장비(29.5%) 생산이 크게 늘어 광공업 생산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다만 1차 금속 생산은 줄었네요.
서비스업에서는 도소매업(1.3%) 생산이 늘었지만,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3.6%)과 금융·보험업(-1.2%)에서 생산이 줄어들면서 전월 대비로는 전체 서비스업 생산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서는 운수·창고업(5.1%)과 보건·사회복지업(3.0%)에서 생산이 늘어 전체 서비스업 생산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제조업의 현재 상황을 더 보여주는 지표로 평균 가동률이 있습니다. 2025년 4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3.8%로, 한 달 전보다 0.7%p 하락했어요.
이는 공장을 100% 돌릴 수 있는 능력 중에 실제로 73.8%만 사용했다는 뜻으로, 생산 활동이 위축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소비 및 투자 동향: 지갑 닫고 투자 망설이는 이유?
소비 상황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도 2025년 4월에 전월 대비 0.9% 감소했습니다. 의복 등 준내구재(-2.0%),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1.4%), 의약품 등 비내구재(-0.3%)에서 판매가 모두 줄었어요. 특히 의복, 신발, 가방 등의 판매 감소가 준내구재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래는 2024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소매판매 지수 증감률입니다.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2024. 4 | -0.3 | -2.8 |
2025. 1 | -0.6 | 0.2 |
2 | 1.8 | -1.8 |
3p | -1.0 | 0.7 |
4p | -0.9 | -0.1 |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소매판매는 0.1% 감소했습니다. 승용차 등 내구재(4.7%) 판매는 늘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5.9%) 판매가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소매업태별로 보면 백화점(-6.7%), 대형마트(-4.4%), 슈퍼마켓 및 잡화점(-2.9%) 등 대부분의 매장에서 판매가 줄었고, 승용차 및 연료 소매점(8.5%)에서만 판매가 증가했습니다.
투자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0.4% 감소했어요.
자동차 등 운송장비(9.9%) 투자는 늘었지만,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4.5%)에서 투자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반도체 제조용 기계 수입(일평균)이 3월 110.8백만 달러에서 4월 50.2백만 달러로 크게 줄었습니다.
아래는 2024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설비투자 지수 증감률입니다.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2024. 4 | 2.0 | -0.4 |
2025. 1 | -17.2 | -6.7 |
2 | 21.3 | 8.0 |
3p | -0.6 | 14.5 |
4p | -0.4 | 8.4 |
작년 같은 달 대비 설비투자는 8.4%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운송장비(19.8%) 투자와 기계류(3.9%) 투자가 모두 늘었습니다.
국내 기계 수주액(선박 제외)도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했는데, 공공 수주는 줄었지만 민간 수주가 18.0% 늘어 전체 수주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건설투자를 보여주는 건설기성(이미 공사가 완료된 실적)은 전월 대비 0.7% 감소했습니다. 토목(6.6%) 공사 실적은 늘었지만, 건축(-3.1%) 공사 실적이 줄어든 영향입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건설기성은 건축(-23.0%)과 토목(-12.6%) 공사 실적이 모두 크게 줄면서 20.5%나 감소했습니다.
건설수주(앞으로 공사할 예정 금액)는 전년 동월 대비 17.5% 감소했습니다. 공장·창고 등 건축(-11.0%) 수주와 기계설치 등 토목(-33.8%) 수주가 모두 줄었습니다. 발주자별로는 민간(-19.7%)과 공공(-7.1%) 모두 수주가 감소했어요.
아래는 2024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건설기성(불변) 지수 증감률입니다.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2024. 4 | 3.3 | 0.4 |
2025. 1 | -4.5 | -27.4 |
2 | 3.0 | -19.8 |
3p | -5.0 | -16.3 |
4p | -0.7 | -20.5 |
경기 종합 지수: 현재와 미래를 가리키는 신호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2025년 4월에 전월 대비 0.2p 상승했습니다.
건설기성액, 소매판매액지수는 감소하였으나, 비농림어업 취업자수, 광공업생산지수 등이 증가하여 지수를 끌어올렸어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상승은 현재 경기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경기를 미리 알려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 대비 0.3p 상승했습니다. 코스피는 감소하였으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재고순환지표 등이 증가한 덕분입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상승은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요.
아래는 2024년 12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경기종합지수 순환변동치입니다.
2024.12월 | 2025.1월 | 2월p | 3월p | 4월p | |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전월차, p) | -0.1 | -0.4 | 0.1 | 0.2 | 0.2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전월차, p) | -0.1 | -0.4 | 0.1 | 0.2 | 0.3 |
결론적으로 산업활동 데이터는 생산, 소비, 투자의 단기적인 감소세를 보여주지만, 현재 및 미래 경기를 나타내는 종합지수들은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혼합된 신호를 주고 있습니다.
생산과 소비 감소는 단기적인 어려움을 나타내지만, 설비투자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와 경기 종합 지수의 상승은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 2025년 4월 산업활동 동향 인포그래픽 (출처:통계청)
맺으말: 요약 및 시사점
산업활동 보고서는 우리 경제가 단기적으로는 생산, 소비, 투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제조업의 주요 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 생산 감소, 대부분의 소매 판매 업태 부진, 건축 및 토목 공사 실적 및 수주 감소 등이 눈에 띕니다.
하지만 희망적인 신호도 있습니다. 설비투자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고, 특히 경기 동행 및 선행 종합 지수가 나란히 상승하며 현재 및 미래 경기 개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부진 속에서도 경제의 기저에 회복 동력이 잠재되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앞으로 발표될 산업활동동향과 다양한 경제 지표들을 꾸준히 살피며 우리 경제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