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0.8% ↑…과일과 채소는 오히려 ↓

2025년 4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개요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5년 4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8% 상승하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2.1% 하락한 수치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인 2.1%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가 어떤 흐름이었는지 더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고해보세요.

 

생필품 가격정보

 

최근 9개월간의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를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
2024년 8월 2.5
2024년 9월 2.2
2024년 10월 1.1
2024년 11월 0.8
2024년 12월 2.4
2025년 1월 1.8
2025년 2월 0.6
2025년 3월 0.4
2025년 4월 0.8

채소 가격 하락의 원인과 체감 효과

채소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5%, 전월 대비 4.3% 하락했습니다. 이는 봄배추, 무, 양배추, 당근 등의 재배면적 증가로 공급이 늘어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봄배추는 전년 대비 16.5% 재배면적이 증가했습니다. 실제로 마트에서 배추 한 포기의 가격이 2,000원대로 내려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배면적 증가율을 작물별로 정리한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작물명 전년대비 재배면적 증가율 (%)
봄배추 16.5
봄무 15.1
봄양배추 6.5
봄당근 8.5

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상승 요인

축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8% 상승했습니다. 특히 돼지고기의 경우, 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과 국내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이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도 원재료비, 인건비, 환율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4.1% 상승했습니다. 정부는 코코아, 커피 등 19개 품목에 할당관세를 적용하여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외식비 상승과 소비자 부담 완화 방안

외식비는 전년 대비 3.2%, 전월 대비 0.5% 상승했습니다. 이는 식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배달앱 수수료 등의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정부는 외식업체의 외국인력 고용 규제를 완화하고, 공공배달앱을 활성화하여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절약 팁

1. 할인 행사 활용: 대형마트에서 진행하는 한우·한돈 할인 행사를 적극 활용하세요. 예를 들어, 농협몰에서는 특정 기간 동안 최대 30%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2. 공공배달앱 이용: 공공배달앱을 통해 2만 원 이상 3회 주문 시 1만 원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2025년 6월 말부터 650만 명에게 제공될 예정입니다.

3. 가격 비교 사이트 활용: 가격정보 종합포털을 통해 지역별 물가 정보를 확인하고, 가장 저렴한 곳에서 구매하세요.

맺음말 및 향후 전망

정부는 농축산물 물가 안정세를 지속하기 위해 수급 상황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비축물량 확보, 할인 행사 등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2025년 3월에도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보인 바 있어, 이전 동향과 비교해보는 것도 유익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정책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체감 물가를 낮출 수 있는 기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