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창업기업 줄었다, 지금 뛰어들면 유리한 분야는?
2025년 상반기 창업기업 현황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창업기업 수는 57만 4,401개로 전년 동기 대비 7.8% 줄었습니다. 2021년 73만여 개에서 시작해 매년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이번에도 숙박·음식점업, 부동산업,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그러나 금융·보험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농림어광업은 증가세를 보이며 일부 업종은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업종별 창업기업 증감과 의미
2025년 상반기에 금융·보험업은 21.9% 증가했으며, 이는 펀드시장 확대와 법인 중심 창업 증가 덕분입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온라인 유통 활성화와 디지털 전환 수요에 힘입어 광고대행업과 경영컨설팅 창업이 늘었습니다.
농림어광업도 기저효과와 축산·과실 작물 재배업 성장으로 9.7% 증가했습니다.
반면 도소매업은 8.1%, 숙박·음식점업은 14.7%, 부동산업은 12.8% 감소했습니다.
이는 소비 위축, 외식 경기 침체, 건설 경기 둔화와 같은 구조적 문제와 시장 포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업종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률(%) |
---|---|---|---|
금융·보험업 | 3,376 | 4,115 | +21.9 |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 27,099 | 27,556 | +1.7 |
농·림·어·광업 | 6,809 | 7,470 | +9.7 |
도소매업 | 225,896 | 207,595 | -8.1 |
숙박·음식점업 | 81,519 | 69,564 | -14.7 |
부동산업 | 62,720 | 54,684 | -12.8 |
연령·기술 기반 창업 흐름
전 연령대에서 창업은 줄었으나, 60세 이상 고령층의 감소율은 3.7%로 가장 낮아 활발한 참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술기반 창업은 10만 8,096개로 전년 대비 3.1% 줄었지만, 전체 비중은 18.8%로 오히려 늘었습니다.
이는 기술과 전문성을 무기로 한 창업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업종별 3년 추이 비교
업종 | 2023년 상반기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23→’25) |
---|---|---|---|---|
금융·보험업 | 3,292 | 3,376 | 4,115 | +25.0% |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 27,502 | 27,099 | 27,556 | +0.2% |
농·림·어·광업 | 7,501 | 6,809 | 7,470 | -0.4% |
도소매업 | 238,279 | 225,896 | 207,595 | -12.9% |
숙박·음식점업 | 87,621 | 81,519 | 69,564 | -20.6% |
부동산업 | 68,710 | 62,720 | 54,684 | -20.4% |
추이를 보면 금융·보험업은 회복세,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안정세, 숙박·음식점업과 부동산업은 2년 연속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과 예비 창업자 행동 가이드
데이터가 말해주는 것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산업의 흐름입니다. 성장 업종은 빠른 진입과 차별화된 모델이 기회가 되고, 감소 업종은 리스크 관리와 세분화 전략이 필수입니다.
예비 창업자는 다음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관심 업종의 KOSIS 통계로 소비·투자 흐름 확인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창업 교육·멘토링 활용
-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자금·보증제도 확인
- 감소 업종 도전 시 데이터 기반 입지 분석과 특화 콘셉트 적용
2025년 상반기 창업기업 FAQ
- Q1. 2025년 상반기 전체 창업기업 수는 어떻게 되며, 전년 대비 변화는 어떤가요?
2025년 상반기 전체 창업기업 수는 57만 4,401개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8%(48,359개)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난 2021년 730,260개, 2022년 695,891개, 2023년 650,504개, 2024년 622,760개에 이어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Q2. 2025년 상반기에 창업이 증가한 주요 업종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025년 상반기에는 주로 전문 지식 분야에서 창업이 증가했습니다. 금융·보험업은 21.9% 증가했으며, 이는 투자 자금 유입(펀드 시장 규모 12.5% 증가)과 기타 금융업 활성화(37.9% 증가)에 기인합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1.7% 증가했는데, 온라인 유통 활성화에 따른 광고 대행업(18.2% 증가)과 디지털 전환 확대에 따른 경영 컨설팅 창업(4.9% 증가)이 주요 원인입니다. 또한, 농·림·어·광업도 9.7% 증가했는데, 특히 축산 서비스업(138.9% 증가)과 과실작물 재배업(24.0% 증가) 창업이 늘고 전년 동기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습니다. - Q3. 반대로, 2025년 상반기에 창업이 크게 감소한 업종은 무엇이며,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창업이 크게 감소한 업종은 숙박·음식점업(14.7%↓), 부동산업(12.8%↓), 도매·소매업(8.1%↓)입니다. 숙박·음식점업은 외식 경기 침체와 카페 시장 경쟁 심화(커피음료점 사업자 수 감소)로 음식점을 중심으로 창업이 줄었습니다. 부동산업은 건설 경기 부진과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익률 하락으로 임대업을 중심으로 감소했습니다. 도매·소매업은 소비 위축과 온라인 직접 구매 부진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 Q4. 월별 창업 추이를 보면 특별한 점이 있나요?
2025년 상반기 월별 창업 추이를 보면, 1월부터 5월까지는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였습니다. 그러나 6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1.1% 상승하며 감소세가 잠시 꺾였습니다. - Q5. 연령대별 창업 증감률은 어떻게 나타났나요?
전 연령대에서 전년 대비 창업이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60세 이상 고령자 창업의 감소율은 3.7%로 가장 낮아, 다른 연령대보다 활발한 편이었습니다. 구체적 감소율은 30세 미만 △14.0%, 30대 △8.2%, 40대 △7.8%, 50대 △7.7%, 60세 이상 △3.7%입니다. - Q6. 기술기반 창업의 동향은 어떤가요?
2025년 상반기 기술기반 창업은 108,096개로 전년 대비 3.1%(3,481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창업에서 기술기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8.8%로 전년 대비 0.9%p 상승했습니다. 이는 전체 창업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술기반 창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Q7. 창업기업동향 통계는 어떤 목적으로 작성되며, 어떤 정보를 담고 있나요?
이 통계는 기업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해 중소기업 경기 진단과 창업 지원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작성됩니다. 업종, 연령, 조직형태, 성별, 지역별 창업 동향을 포함하며, 업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10차 기준, 연령은 만나이 기준, 조직형태는 개인·법인으로 구분합니다. - Q8. 이 통계 자료를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국세청 사업자등록 자료를 기준으로 집계하므로 법령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법인 전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 업종 재개, 주택 임대사업자 등)이 일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 기준)과 행정 자료(DB) 간 차이로 법인 총계 및 업종 구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비교 시 주의해야 합니다.
맺음말
2025년 상반기 창업기업 동향은 “감소 속에서 기회 찾기”입니다. 누구나 뛰어드는 업종은 포화로 위험하지만, 자본·지식·기술이 필요한 업종은 새로운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두려워하지 말고, 나에게 맞는 업종을 좁혀 실행으로 옮기세요. 오늘 바로 아이템 3개를 적고, 고객 1명을 상상해 문제와 해결책을 정의해보는 것이 창업의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