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 보안 점검, 사진 유출 막는 5분 설정법 공개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집 안을 지키는 첫걸음, 로봇청소기 보안의 핵심
집 안 지도를 만들고 사진과 센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는 로봇청소기는 편리하지만, 로봇청소기 보안이 약하면 사생활과 개인정보가 한순간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카메라·사진 열람, 권한 남용, 취약한 업데이트 정책은 실제 생활에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합니다.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사용자 입장에서 “왜 중요하고, 무엇을 지금 당장 해야 하는지”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핵심 요약: 무엇이 문제였나
최근 조사에서 일부 제품에서 사진 조회·탈취, 카메라 강제 활성화, 악성 파일 전송 가능성과 같은 취약점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비밀번호 강도 정책 미흡, 앱 역공학 방지 미비, 하드웨어 포트(UART 등) 노출, 펌웨어 보안 설정 미흡 등 기초 설계의 약점도 드러났습니다. 아래 표는 조사 대상과 제조연월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브랜드 | 제품명 | 모델명 | 수입·판매원 | 제조연월 |
---|---|---|---|---|
나르왈 | 프레오 Z 울트라 | YJCC017 | 운경인텔리전스㈜ | 2024.08. |
드리미 | X50 Ultra | RLX85CE | ㈜코오롱글로벌 | 2025.01. |
로보락 | S9 MaxV Ultra | S90VER | 팅크웨어모바일㈜ | 2025.02. |
삼성전자 | BESPOKE AI 스팀 | VR7MD97716G | 삼성전자㈜ | 2025.02. |
에코백스 | 디봇 X8 프로 옴니 | DEX56 | 더불정보기술㈜ | 2025.02. |
LG전자 | 코드제로 로보킹 AI 올인원 | B95AWBH | LG전자㈜ | 2025.02. |
제품별 보안 평가 한눈에 보기
모바일앱·정책 관리·기기 보안(하드웨어·네트워크·펌웨어)을 종합 평가한 결과입니다. 별표는 상대적 수준(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을 뜻합니다.
브랜드 | 모바일앱 보안 | 정책 관리 | 기기 보안 |
---|---|---|---|
나르왈 | ☆ | ★★★ | ★★ |
드리미 | ★ | ☆ | ★ |
로보락 | ★★ | ★★★ | ★★ |
삼성전자 | ★★★ | ★★★ | ★★ |
에코백스 | ★ | ★ | ★ |
LG전자 | ★★★ | ★★★ | ★★ |
사생활 노출을 막는 즉시 실행 10가지
- 비밀번호 정책 강화: 길이 12자 이상, 대소문자·숫자·기호 조합. 기본 암호 즉시 변경.
- 이중 인증(MFA)을 계정·앱에서 활성화.
- 앱 권한 최소화: 카메라는 필요 시만, 사진 접근은 제한. 공유·초대 기능은 사용 후 해제.
- 자동 업데이트와 보안 패치 알림을 켜고 즉시 적용.
- 게스트 Wi-Fi 또는 별도 SSID로 IoT 기기 네트워크 분리.
- 원격 접속·UPnP는 공유기에서 비활성화, WPA3(또는 WPA2-AES) 사용.
- 지도·사진 클라우드 보관기간 최소화, 자동 업로드 불필요 시 해제.
- 로그인 알림과 새 기기 로그인 승인 절차 적용.
- 물리 보안: 디버그 포트(UART 등) 노출 방지, 카메라 렌즈 커버 사용.
- 제조사 보안 공지 구독: 취약점 신고 채널과 업데이트 정책을 북마크.
이미지로 보는 보안 수칙 요약
아래 이미지는 구매·설치 전 확인할 항목, 사용 중 점검 포인트, 중고 거래 전 초기화 등 실전 수칙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블로그 본문과 함께 저장해 두세요.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로봇청소기 보안 수칙 – 안전한 로봇청소기 사용을 위한 가이드 인포그래픽
구매·교체 전 체크리스트
체크 항목 | 확인 방법 | 기준 |
---|---|---|
보안 인증·표준 | 제품 설명서·공식 사이트 | 국내 IoT 보안 인증 또는 EN 303 645 준수 표기 |
업데이트 정책 | FAQ·보안 공지 | 지원 기간과 배포 주기 명시 |
계정 보호 | 앱 설정 | MFA, 비밀번호 강도 검사 제공 |
데이터 처리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사진·지도 저장 범위와 보관기간 투명성 |
권한 제어 | 앱 권한 페이지 | 카메라·사진·마이크 등 세분화 제공 |
원문보다 풍성하게: 필수 참고 링크 모음
- 한국소비자원 보안·안전 공지
- KISA IoT 보안인증 및 진단 가이드
- OWASP IoT 취약점 및 대응 가이드
- ETSI EN 303 645 소비자용 IoT 보안 요구 사항
자주 묻는 질문(FAQ) 요약
- Q. 로봇청소기 보안 취약점 조사는 왜, 어떤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나요?
A. 최근 로봇청소기 보안 사고로 소비자 불안이 커져, 국내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소비자기본법」에 근거하여 보안 실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국내 시장 판매량이 높은 나르왈, 드리미, 로보락, 삼성전자, 에코백스, LG전자 등 6종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 Q. 조사된 로봇청소기에서 어떤 주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나요?
A. 조사 결과, 다양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일부 제품(나르왈, 드리미, 에코백스)은 모바일 앱 사용자 인증이 미비하여 사생활 침해 위험이 있었고, 드리미 제품은 개인정보 관리 부실이 우려되었습니다. 또한, 대부분 제품의 기기 및 펌웨어 보안 수준이 낮아 내부 구조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 Q. 모바일 앱 보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사생활 침해 위험이 있었나요?
A. 모바일 앱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일부 제품에서 별도 인증 없이 집 내부 사진·영상을 조회하거나 탈취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다른 사용자에게 일부 권한만 공유해도 카메라 기능이 강제로 활성화되거나, 사용자의 사진첩에 악성 파일이 전송될 수 있는 위험도 확인되었습니다. - Q.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있었던 제품과 구체적인 취약점은 무엇인가요?
A. 드리미 제품에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발견되었습니다. 해당 브랜드의 웹사이트 게시판에 공개된 사용자 ID를 이용하면, 별도 인증 없이 공격자가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등 개인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취약점이 있었습니다. - Q. 조사 대상 제품 중 전반적인 보안성이 우수하다고 평가된 제품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삼성전자와 LG전자 2개 제품이 종합적인 보안성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습니다. 이들 제품은 모바일 앱의 접근 권한 설정, 불법 조작 방지 기능 등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만, 기기 보안 측면에서는 모든 제품이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Q. 소비자들은 로봇청소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어떤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하나요?
A. 안전한 사용을 위해 예측하기 어려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제조사가 제공하는 펌웨어 및 앱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실행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나 권한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공식 스토어를 통해 앱을 다운로드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는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Q.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어떤 후속 조치가 이루어졌나요?
A. 한국소비자원은 모든 사업자에게 보안성 향상을 권고했으며, 6개 사업자 모두 개선 계획을 회신하고 발견된 일부 취약점은 즉시 조치를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 협력하여 사물인터넷(IoT) 제품의 보안 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Q. 로봇청소기의 ‘펌웨어 보안’에서 전반적으로 어떤 취약점이 발견되었나요?
A. 조사 대상 제품 전반적으로 펌웨어 보안 설정이 미흡하여 내부 보안 구조가 외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불필요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거나, 공개된 보안 취약점이 있는 라이브러리가 일부 제품에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마무리: 오늘 10분, 사생활을 지키는 투자
로봇청소기 보안은 고급 기술이 아니라 생활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강력한 비밀번호와 이중 인증, 최소 권한, 빠른 업데이트, 네트워크 분리만 지켜도 위험은 크게 줄어듭니다.
지금 바로 앱을 열어 권한을 정리하고, 공유기 설정을 점검하고, 업데이트를 적용하세요. 다음 달 달력에 “보안 점검”을 반복 일정으로 등록하면, 편리함과 안전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